영화 <1923>은 1923년 9월, 일본 도쿄 간토대지진의 현장에서 일어난 조선인 제노사이드(집단학살)의 진실을 추적하는 다큐멘터리입니다. 진실을 밝히기 위해 평생을 바쳐 온 일본과 한국의 진실 추적자들의 이야기, 그리고 그들이 밝혀낸 학살 증거를 세상에 공개하고 100년간 철저히 봉인해 온 일본 정부의 ‘은폐 공작’을 파헤쳐 가는 영화입니다.
진실에 다가서기 위해 3년동안 추적 촬영해 온 다큐멘터리 영화 <1923>은 간토대지진 100주기인, 2023년 9월 마지막 일본 촬영을 남겨두고 있습니다.
<1923>의 추적자는 일본인 4인, 한국인 1인으로 간토 학살을 수 십년 동안 추적해 온 이들이다.
니시자키 마사오(64세),‘양심의 꽃’으로 불리는 시민단체 [봉선화] 이사.
히라카다 치에코(82세), 최초로 6구의 조선인 유골을 발굴한 [치바현 실행위원회] 위원.
세키하라 마사히로(78세), 일본서 유일한 현청 비밀문서를 공표한 [일조협회 사이타마 연합회] 회장.
야마모토 스미코 (84세), 요코하마에서의 조선인 학살을 추적해온 [가나가와현 실행위원회] 대표.
정성길(83세), 37년간 조선인 학살의 사진자료를 전 세계에서 찾고 있는 학자, 계명대 역사고고학과 교수.
<1923> 제작진이 3년의 추적 취재 끝에 밝혀낸 진실들이 증거자료와 함께 최초로 공개된다.
"250명의 조선인들이 산 채로 불에 타는 장면도 목격했다"
학살사건을 국제적으로 처음 보도한 뉴욕 타임즈의 기사가 전하고 있는 진실.
극비문서 [관동계엄군 상보], [조선인 문제에 관한 협정], 조선총독부 경무국 발행 [사이토 마코토 문서]가 일본 정부에 의해 훼손되고 감춰져야 했던 이유는 무엇일까?
40년 만에 최초 공개되는 학살목격자 김태엽의 육성.
일본에서 유일한 대지진 당시의 일기,‘키치사브로의 수첩’을 현청의 비밀통지 문서와 함께 최초 공개.
군대가 자행한 39인의 조선인 학살사건을 최초로 기관 보고한 일본 중앙 방재회의 보고서.
그리고, 나라시노 육군 수용소에서 벌어진 ‘제2의 조선인 학살’까지...
감춰진 역사의 기억을 소환하고, 100년 동안 진실규명을 숨겨온 일본의 국가 범죄를 묻는다.
“간토대지진 때 일본 군대가 조선인 학살”… 일본 정부 문서 나왔다 – 한국일보 (2023.2.9)
자세한 내용에 놀랐다"…다큐 찍다 찾은 '대학살 증거 - SBS 뉴스(2023.2.9)
유언비어에 희생된 사람들, 관동 대지진과 조선인 학살 - KBS 해 볼만한 아침 (2023.2.28)
김태영 감독
1987년 각본·감독·제작한 국내 최초 5·18 영화 <칸트 씨의 발표회/35분> 가 1988년 제38회 베를린 국제영화제에 초청되며 한국사회의 주목을 받았다. 5·18 항쟁 연작 장편으로 1988년 12월에 각본·감독·제작한 <황무지/90분>는 광주에 투입된 진압군 병사가 탈영, 망월동 묘지에서 양심선언 후 분신하는 충격적 내용으로, 1989년 5월 보안사령부가 영화의 상영을 금지하고 필름을 압수해가서 당시 한국사회에 큰 파장을 일으켰다.
[5·18 민주화운동 40주년]에, 두 작품은 2020년 5월, 국립 아시아문화전당과 한국영상자료원 특별상영작으로 공개되면서 ’상영금지‘ 33년 만에 부활했다. 이후 망월동 묘지에서 추가 촬영을 하여 만든 <황무지 5월의 고해>가 2020 부산국제영화제 ’커뮤니티 BIFF‘에 초청되고 10월, 극장 개봉했다. 2022년 ’진실화해조사위원회‘를 통해 1989년 당시의 보안사령부 내부문건이 확인되어 당시의 상영금지사건에 대한 조사가 개시되었고 재판을 진행중이다.
영화 제작자로, 2002년 장동건과 나카무라 토오루 주연의 블록버스터 SF영화 <2009로스트메모리즈>, 2012년 독립 영화 <바비>(감독 이상우 주연 이천희 김새론), 2020년 <그녀의 비밀 정원> (감독 김인식 주연 예지원 최우제)을 제작 개봉하였다. 2018년 산악 다큐 영화 <산적의 꿈>(감독 양태진)이 제3회 울주 세계산악영화제 월드프리미어 경쟁 부문에 상영했다. 각본·감독·제작한 판타지 다큐영화 <딜쿠샤>로 전주국제영화제(2015년)에서 라이징시네마 쇼케이스 관객상을 수상했으며, DMZ국제다큐영화제(2016년)에 초청 받아, ‘지금 한국 사회에 꼭 필요한 영화’라는 찬사를 받았다.
현재, ‘촛불과 태극기‘ 속 처절하고 치졸한 가족이 얼떨결에 나라를 구하는 이야기, 영화 <광화문가족> 을 제작준비중이며 9월부터 캐스팅을 사작할 예정이다. <더 게임>의 윤인호 감독과 영화 <쇄빙선>의 제작을 준비하고 있다.
최규석 공동감독 김기란 구성작가
김한성 촬영감독 오정옥 촬영감독
조화행 코디네이터 김현성 주제가
작품명 | 1923
장르 | 진실추적 다큐멘터리
감독 | 김태영 최규석
촬영 | 김한성 오정옥 조문희
구성작가 | 김기란
프로듀서 | 염동복 백경민
조연출 | 김주혜
일본 코디네이터 | 조화행 오즈 에미
가편집 | 김동운
편집 | 문인대
주제가 | 김현성
삽화 | 박재동
음악 삽입곡 | 박기헌
음악 슈퍼바이저 | 황예준
녹음 | 정희진
제작 | 김태영
공동제작 | (주) 인디컴
공동기획 | 시민모임 독립
배급 | 영화사 진진 (예정)
제작협조 | 가톨릭문화원 구세군연희교회
개봉 | 2024년 3월 (예정)
후원금 전액은 영화 <1923>의 마지막 100주기 일본 8차 촬영(8월 29일~9월 4일)과 후반 작업을 위한 비용으로 소중하게 사용될 예정입니다.
<1923> 특별시사회
- 장소 : 인디스페이스 (서울시 마포구 양화로 176, 동교동 스타 피카소 8층)
- 영화 <1923>은 11월부터 베를린영화제 등 해외 영화제 출품을 시작합니다. 후원자님을 위한 특별시사회 개최일시와 장소는 '최근 소식'란과 기재해주신 연락처를 통해 다시 안내해드리겠습니다.
<1923> 후원 공연
가수 김현성 <1923> 주제가 작사·작곡 (대표곡 : 이등병의 편지·가을 우체국 앞에서)
- 일시 : 11월 3일 금요일
- 장소 : 불교중앙박물관 소극장 (서울 종로구 우정국로 55, 조계사)
- 소요시간 : 90분
- 공연 형태 : 라이브 콘서트
- 환불 규정 : 펀딩 종료 후 환불 불가
- 타인 양도 가능
- 티켓 수령 방법 : 현장 수령
- 공연 수용 인원 : 250명
<장동건의 백투더북스2> 도서
- 도서명 : 장동건의 백 투 더 북스 2
- 저자, 출판사 : 백투더북스 제작팀 저 / 인디컴 출판
- 크기 : 172x230
- 쪽수 : 210쪽
- 출간일 : 2023년 10월 6일
- 목차 : [네덜란드]천국의 서점, 도미니카넌 / [영국]서점, 영원한 숨결을 얻다 / [오스트리아]오래된 책의 정원에서 / [그리스]신화의 땅, 인문학의 꽃
<1923> 영화 DVD | 2024년 5월 발매 예정
30,000원
엔딩크레딧 이름기재 + 영화 <1923> 특별시사회초대 1명
60,000원
엔딩크레딧 이름기재 + 영화 <1923> 특별시사회초대 2명
+ <장동건의 백투더북스2> 도서 1권 증정
100,000원
엔딩크레딧 이름기재 + 영화 <1923> 특별시사회초대 2명
+ 공연 <1923> 가수 김현성 후원 공연 초대 1명
+ <장동건의 백투더북스2> 도서 1권 증정
200,000원
엔딩크레딧 이름기재 + 영화 <1923> 특별시사회초대 4명
+ 공연 <1923> 가수 김현성 후원 공연 초대 2명
+ <장동건의 백투더북스2> 도서 2권 증정
300,000원
엔딩크레딧 이름기재 + 영화 <1923> 특별시사회초대 6명
+ 공연 <1923> 가수 김현성 후원 공연 초대 3명
+ <장동건의 백투더북스2> 도서 3권 증정
+ DVD <1923> 1개 증정
500,000원
엔딩크레딧 이름기재 + 영화 <1923> 특별시사회초대 8명
+ 공연 <1923> 가수 김현성 후원 공연 초대 6명
+ <장동건의 백투더북스2> 도서 5권 증정
+ DVD <1923> 1개 증정
1,000,000원
엔딩크레딧 이름기재 + 영화 <1923> 특별시사회초대 20명
+ 공연 <1923> 가수 김현성 후원 공연 초대 10명
+ <장동건의 백투더북스2> 도서 20권 증정
+ DVD <1923> 1개 증정
◾ 후원하기를 누르시면 리워드금액 선택 다음 단계에서 추가 금액을 자율로 입력하실 수 있습니다.
◾ 1,000,000원 이상 자율후원 참여자분께는 리워드수량 및 제공방법에 대해 개별 연락드립니다.
◾ 크라우드펀딩 일정 : 2023년 8월 10일 ~ 9월 6일
◾ 리워드 배송일 : 펀딩 종료 후 도서는 11월부터 배송될 예정이며 DVD는 2024년 5월 발매 후 배송될 예정입니다. 후원자님을 위한 <1923> 후원 공연은 11월 3일 금요일 진행예정입니다. 후원자님을 위한 특별시사회 일시와 장소는 '최근 소식'란과 기재해주신 연락처를 통해 다시 안내해드리겠습니다. 시사회 참석이 어려우신 분들께는 2024년 개봉시 예매권번호를 온라인으로 전송해드리겠습니다.
◾ 리워드 배송료 : 무료배송
◾ 전화 : 02-712-1006
◾ 이메일 : juju981@naver.com